한미약품 NASH 치료 신약, 특발성 폐 섬유증 치료 확장 가능성 확인
상태바
한미약품 NASH 치료 신약, 특발성 폐 섬유증 치료 확장 가능성 확인
  • 이동근 기자
  • 승인 2023.05.24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뉴스프리존]이동근 기자=한미약품은 19~24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미국흉부학회 국제 컨퍼런스 'American Thoracic Society(ATS) 2023'에서 LAPSTriple agonist(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 국제일반명 efocipegtrutide)를 특발성 폐 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 1건을 포스터로 발표했다.

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는 최근 IDMC(독립적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로부터 NASH 치료제로의 개발을 중단없이 지속하라는 권고를 받은 바 있는 신약이다.

한미약품 영문 홈페이지에 게시된 ATS 2023 발표 내용 관련 안내문. (자료=한미약품)
한미약품 영문 홈페이지에 게시된 ATS 2023 발표 내용 관련 안내문. (자료=한미약품)

체내 에너지 대사량을 증가시키는 글루카곤, 인슐린 분비 및 식욕 억제를 돕는 GLP-1, 인슐린 분비 촉진 및 항염증 작용을 하는 GIP 수용체를 동시에 활성화하는 삼중작용 바이오신약으로, 한미약품은 현재 글로벌 임상 2상을 통해 NASH 치료제로 개발 중인 동시에 IPF 등 희귀질환 영역에서 가능성을 탐색해 왔다.

미국 FDA(식품의약국)와 EMA(유럽의약품청)는 이미 ▲원발 담즙성 담관염 ▲원발 경화성 담관염 ▲특발성 폐 섬유증을 적응증으로 하는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한 바 있다.

이번 발표는 특발성 폐 섬유증 모델에서의 효력을 평가한 것이다. 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의 반복 투약시 혈중 산소포화도가 증가하고 섬유화 지표들이 유의하게 개선된 점을 확인했다. 섬유화 진행 억제 및 폐 기능 개선을 통해 동물모델에서 질병 진행에 따른 사망률을 낮췄다.

이 효과는 현재 국내에서 IPF 치료제로 허가된 '피르페니돈'과 '닌테다닙'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표를 맡은 김정아 박사는 "NASH 치료제는 물론, 특발성 폐 섬유증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뒷받침한 데이터를 확보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IPF는 폐 조직이 점진적으로 딱딱하게 굳어지는 섬유화가 진행돼, 폐 기능의 저하를 유발하는 희귀질환이다. 현재까지 이 질병의 원인으로 뚜렷하게 입증된 것은 없고, 기존 치료제는 증상을 완화하는 정도의 효능적 한계로 인해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질환이다.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후원회원이 되어주세요. 독자님의 후원금은 모두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정기후원은 모든 기자들에게 전달됩니다.

정기후원 하기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해당 언어로 번역 중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