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프리존]이동근 기자=현대자동차그룹이 지난해 토요타, 폭스바겐에 이어 판매대수 기준 전세계 3위에 올랐다. 현대차그룹이 빅3에 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5일 각 완성차그룹의 IR 자료를 취합한 결과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작년 전세계에서 총 684만 5000대를 팔아 일본 토요타그룹(1048만 3000대), 독일 폭스바겐그룹(848만 1000대)에 이어 처음으로 글로벌 판매량 3위를 차지했다.
현대차그룹 다음으로는 프랑스 르노와 일본 닛산·미쓰비시가 결합한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615만 7000대), 미국 GM(593만 9000대), 피아트크라이슬러와 푸조·시트로엥그룹이 합병한 스텔란티스그룹(583만 9000대) 등이 뒤를 이었다.

2000년 10위로 시작했던 현대차그룹은 계속해서 순위가 오르다 2010년 미국 포드를 제치고 5위에 올랐다가 2020년에 4위에 올랐다.
이번 성과는 타 완성차그룹들이 판매량감소를 겪는 가운데 나홀로 성장을 이어간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로 2021년 대비 2022년 판매량을 보면 1~6위 완성차그룹 중 판매량이 증가한 곳은 현대차그룹이 유일했다. 현대차그룹의 전년 대비 2022년 판매 증가율은 2.7%로 집계됐다.
반면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는 무려 14.1% 줄어들며 3위에서 4위로 내려왔다. 토요타(-0.1%)와 폭스바겐(-1.1%), GM(-5.7%) 등도 모두 판매가 감소했다.
이같은 결과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에 따른 글로벌 완성차업체들의 생산 차질 때문으로 보인다. 또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의 판매량이 늘고, 전기차 등 친환경차 시장에서 '퍼스트 무버'(선도자) 전략이 주효했던 것도 글로벌 순위 상승의 한 배경으로 분석된다.

해외시장에서의 선전도 판매량 증가에 기여했다. 지난해 미국 시장의 점유율은 10.8%로 처음으로 10%를 넘었고, 유럽에서는 역대 최고 점유율(9.4%)을 기록했다.
다만 올해도 이 자리를 지킬지는 두고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유럽연합(EU)의 핵심원자재법(CRMA) 등 현지 생산을 압박하는 법률과 고금리·고물가·고환율에 따른 수요 위축 등이 문제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는 "글로벌 3위는 의미가 크다"며 "판매량과 실적이 모두 좋았다는 것은 양적 팽창에 이어 질적 관리도 이뤄졌다는 뜻으로,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셈"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올해는 경기침체와 보호주의라는 파고를 넘는 것이 관건"이라며 "제네시스 등 프리미엄차나 전기차 전략이 성공하고 있어 기대되는 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 잘 보셨나요? 독자님의 응원이 기자에게 큰 힘이 됩니다.
후원회원이 되어주세요. 독자님의 후원금은 모두 기자에게 전달됩니다.
정기후원은 모든 기자들에게 전달됩니다.